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

속초상공회의소

대한상의보도자료

대한상의보도자료 상세보기
제목 2025년 상반기 채용시장의 특징과 시사점 조사
담당부서 고용노동팀 작성일 2025.06.25
첨부파일

상반기 채용시장 ‘중고신입 우대합니다’


- 대한상의 상반기 채용시장 분석... ①신입보다 경력 ②연봉 미스매치 ③비수도권 인식 전환
- 신입보다 경력: 기업의 97.4% “경력 우대” vs. 대졸청년 54% “경력선호가 진입장벽”
- 연봉 미스매치: 대졸 청년 희망연봉 4,023만원 vs. 구직기업 “평균 3,708만원”
- 지방 인식전환: 수도권 대졸 청년 63% “좋은 일자리면 비수도권 취업 의향”
- 대한상의 제언: ①일·경험 기회 확대 ②채용 플랫폼 내실화 ③메가 샌드박스 조성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최근 발표한 ‘상반기 채용시장 특징과 시사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상반기 채용시장을 ① 신입보다는 경력 ② 연봉 미스매치 ③ 비수도권 인식 전환 등으로 요약했다. 이는 대한상의가 대졸 청년 구직자 1천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졸 청년 취업인식조사와 민간 채용 플랫폼의 채용정보를 분석한 결과다.

첫 번째 특징은 뚜렷한 경력 선호 현상이다. 구직자가 많이 찾는 한 민간 채용 플랫폼에 올라온 상반기 채용공고는 현재까지 144,181건으로 나타났으며, 경력 채용만을 원하는 기업은 전체의 82.0%, 신입 또는 경력을 원하는 기업은 15.4%였다. 반면, 순수하게 신입직원만을 채용하는 기업은 전체의 2.6% 수준이었다.


 

대졸 청년 구직자의 53.9% 역시 취업진입장벽으로 ‘경력 중심의 채용’을 지목했고, 33.5%는 ‘인사적체로 신규채용여력의 감소’를 꼽았다. ‘AI 등 자동화로 인한 고용규모 축소’라는 응답도 26.5%에 이르렀다.<복수응답>

기업은 실전에 바로 투입할 인력을 원하는데, 대졸 청년 구직자들은 직무를 쌓을 기회가 적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 청년 구직자의 53.2%는 ‘대학 재학 중 직무경험을 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대한상의는 “새로운 국제질서, AI 폭풍 등 변화의 방향과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기업들의 채용도 공개채용보다는 수시로, 신입보다는 중고신입을 선호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구직자의 노동시장 진입을 돕기 위해서는 인턴 확대, 학점 인정 연계형 현장실습 확대, 직무 기반 실무훈련 중심의 교육과정 개편 등을 통해 재학 중 직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예컨대 현재 정부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청년일경험사업'과 ‘일학습병행제'를 확대하는 한편, 참여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도 강화해야 한다.

두 번째 특징은 구직자-구인기업간 연봉 미스매치다. 상반기 대졸 청년 구직자의 희망 연봉수준은 평균 4,023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신입을 원하는 구인기업 채용공고상 평균 연봉수준인 3,708만원보다 315만원 높은 수준이다. 신규 구직시장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청년들은 더 큰 기업 일자리에 대한 선호는 여전했다. 이들의 62.2%는 “중견기업(33.8%)과 대기업(28.4%) 취업을 희망한다”고 답한 반면, “중소기업(11.4%)이나 벤처 스타트업(3.5%) 취업을 원한다”는 응답은 14.9%에 불과했다.<공공기관·공무원 22.9%>




이에 대해 상의는 “연봉·복지·근무환경 등 채용정보를 데이터 기반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채용정보 플랫폼 내실화”를 강조했다. 이는 구직자의 직무 선택과 기업의 채용 효율을 높이는 핵심 수단이라는 것이다.

마지막 특징은 청년들의 비수도권 취업에 대한 인식 변화 조짐이다.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거주 신규 구직자의 63.4%는 “좋은 일자리가 전제된다면 비수도권에서도 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다만, 비수도권 취업을 위한 조건으로 ‘높은 급여 수준’(78.9%)이 가장 높았고, 양질의 복지제도(57.1%), 워라밸 실현(55.8%), 고용 안정(42.5%), 커리어·직무역량 개발(29.1%)등이 뒤를 이었다.<복수응답> 이에 윤정혜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분석팀장은 “청년들의 비수도권 취업의향은 수도권 취업경쟁이 치열하다보니 지방취업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이 다소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새 정부가 지역대표 전략산업 육성을 지역경제 공약으로 밝힌 가운데 이러한 추세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더 나아가 ‘메가 샌드박스’ 도입이 필요한 때임을 강조했다.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기업을 끌어들일 파격적인 규제혁신, 과감한 인센티브, 글로벌 정주여건, AI 인프라 등을 조성하여 기업을 유인하고 민간주도형 글로벌 도시에서 청년들이 밝은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터전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전글, 다음글
대한상의, ‘새성장모델 정책제언’ 정부·국회 등에 전달
2025년 상반기 채용시장의 특징과 시사점 조사
대한상의, 해군 2함대사령부 자매결연 및 위문방문

속초상공회의소

24835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중앙로 98 (청학동) 신성빌딩 6층

Copyright (c) 2017 sokchocci, All Right Reserved.